반응형

 

가위눌림이란 잠들거나 잠에서 깨어날 때 의식은 확실한 데 몸은 움직일 수 없는 상태에서 공포감을 경험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귀신 또는 악령에 의해 억눌리는 현상이라고 말하는데, 심리학적으로는 렘(REM) 수면 상태에서 각성이 혼합됐다고 말합니다. 

렘(REM, Rapid Eyes Movement)수면은 말 그대로 의식이 살아있어 눈동자가 빠르게 움직이는 가운데 몸은 이완되어 움직이지 못하는 상태입니다.  이때 몸을 움직이지 못하면서 일부 의식이 회복되어 환각이나 공포감을 경험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가위눌림은 대체적으로 짧은 시간 동안 계속되어 몇 분 안에 자연스럽게 해소되거나, 자신의 의지로 깨어나거나 또는 주위사람이 깨워주어 해소되게 됩니다. 그러나 가위눌림을 경험하는 중에는 극심한 공포와 불안에 휩싸이게되는 겁니다. 깨어나서도 그 기억을 유지하게 됩니다. 

가위눌림의 증상으로는 신체가 마비되어 몸을 꼼짝 못하며, 호흡이 곤란하거나 숨 쉬기 힘들어 압박감을 느끼게 되며, 환각과 꿈과 현실이 뒤섞여 누군가 옆에 있거나 몸을 짓누르는 것 같은 느낌을 받습니다. 이에 따라 극도의 무서움을 느껴 마치 귀신이나 악령의 행위와 같다고 생각하는 것이죠.

그렇다면 가위눌림의 원인은 무엇일까요? 대체적으로 과도한 스트레스, 수면부족, 불규칙한 수면 패턴, 과로, 수면 무호흡증, 약물 부작용, 정신질환 등은 렘수면의 불안정성을 증가시켜 가위눌림 현상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기독교적 측면의 성경적 해석으로는 가위눌림 현상이 악령의 영향으로 해석되기도 합니다. 성경에는 악령이 사람의 몸을 사로잡아 움직이지 못하게 하거나 환각을 일으키는 등의 모습을 보여주는 내용이 수차에 걸쳐 나타납니다. 

예를 들면, 예수님은 귀신을 내쫓아 가위눌림을 경험하던 사람들을 치료하였습니다.(마태 8:28~34) 사도 바울도 마케도니아에서 악령에 사로잡혀 가위눌림을 겪던 사람들을 만나기도 했습니다.(고린도전서 12:7~10)

물론 성경에 등장하는 가위눌림 현상은 신앙적인 해석일 뿐 과학적 근거는 없습니다. 그러나 가위눌림이 실제 악령의 영향일 수도 있습니다. 영적인 세계를 세속적인 지식으로 판단하는 것 자체가 무리이니까요. 최근 영적인 힘에 대한 과학적 근거가 밝혀지기도 합니다. 

결론적으로 가위눌림 현상을 겪는 사람들은 두려움과 공포감에 떨기보다는 정신의학적 치료나 종교적 영성치료를 통해 극복해 보는 것도 괜찮은 방법일 이라 생각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렘(REM, Rapid Eyes Movement)수면이란 자는 동안 눈동자가 좌우로 빠르게 움직이는 현상을 말하며, 이때 뇌파는 우리가 잠을 자지 않을 때처럼 활동이 활발하여 꿈을 꾸게 만들며 낮에 배웠던 행동이나 지식을 복습하여 창의성을 높여줍니다. 물론 쉽게 잠에서 깨어나기도 합니다. 즉 렘수면은 뇌파는 깨어있는 상태지만 실제로는 자고 있는 것을 말합니다. 정신적 충전을 위해서는 렘수면이 중요합니다.

비렘(Non-REM)수면은 눈동자가 움직이지 않는 상태로 잠을 자게 됩니다. 이때 뇌파는 기능이 저하되어 꿈을 꾸지 않고 깊은 잠에 빠져든 상태로 4단계로 구분됩니다. 비렘수면으로 진행되는 초기단계(1단계), 잠이깊어지는 단계(2단계), 깊은 수면으로 들어가는 단계(3단계), 가장 깊은 수면단계가 바로 4단계입니다. 비렘수면만 길게 이어지면 뇌의 발전이 더뎌지는 등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비렘수면 중에는 뇌파가 느긋해진 파동인 서파가 나타나 서파수면이라고도 합니다. 신체적 충전을 위해서는 비렘수면이 중요한 이유입니다.

렘 수면(REM) 비렘 수면(Non-REM)
얕은 수면
안구운동 증가
호흡, 맥박, 혈압 증가
꿈꾸는 수면
깊은 수면
안구 운동 감소
호흡, 맥박, 혈압 안정
근육 이완
1~4단계로 진행

 

비렘 수면은 처음 잠이 들면 15~30분 내에 1단계에 진입하고 이후 점점 깊이 잠들어 2~3~4단계까지 도달하며, 4단계가 끝나면 깊은 잠에서 빠져나와 얕게 잠자는 REM수면 상태에 다다릅니다. 이러한 수면주기는 자는 동안 5~6번 반복되며, 초기 두 번은 4단계까지 깊이 잠이 들지만 이후부터는 잠의 깊이가 점점 얕아집니다.

수면은 렘수면과 비렘수면이 서로 반복됩니다. 초기 수면주기에서는 깊은 잠인 서파수면의 비율이 높고, 그에 비하여 렘수면은 짧습니다. 그러나 시간이 경과하면서 새벽이 가까워질 수록 비렘수면(서파수면)은 짧아지고, 그에 반비례하듯이 렘수면은 길어집니다. 렘수면의 길이는 1회 평균 14분 정도이며, 전체 수면에서 신생아의 경우는 렘수면이 75%를 차지하고, 어린아이는 50% 정도, 성인은 20~25% 정도를 차지합니다. 

 

 

우리가 잠자리에서 일어났을 때 기분이 상쾌하고 개운하다면 REM수면 구간에서 일어난 것이고, 잠에서 제대로 깨어나지 못하고 비몽사몽거린다면 비렘(N-REM)수면 구간에서 일어났기 때문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수면은 초반 90분이 골든타임입니다. 90분 동안 렘수면이 나타나지 않고 곧바로 비렘수면으로 빠져들어야 기상했을 때 가장 개운하다고 느낍니다. 

반응형
반응형

 

우리는 잠을 자다가 갑자기 깼을 때, 의식은 있지만 몸은 움직일 수 없었던 적이 있다. 일명 '가위눌림'이다. 이때 사람들은 본능적으로 공포를 느껴, 실체가 없는 환각을 보거나 환청을 듣기도 한다. 이런 현상에 접한 사람들은 귀신 얘기를 종종하곤 한다. 정말 귀신이 몸을 누르고 있어서 그런 건지 한번 살펴보자.

우리는 잘 때 꿈을 꾸는 시기인 렘수면과 서파 수면인 비렘수면을 반복한다. 렘수면 중엔 호흡 등 생명에 필수적인 기관들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근육이 긴장·마비된다. 정상적인 수면에서는 렘수면에서 비렘수면 단계를 거친 뒤 잠에서 깨어나기 때문에 가위에 눌리지 않는다.

그러나 비정상적으로 렘수면에서 각성하면 의식은 깨어 있지만, 몸은 움직이지 못해 가위눌림 증상을 겪는 것이다. 이때 골격근은 마비되지만, 눈 근육과 호흡근은 보존돼 있어 움직이려고 애쓰면 눈에 심한 움직임이 생기기도 한다. 1~4분 정도 지속되는데 어떤 소리를 듣거나 신체를 누군가 만지면 증상에서 쉽게 벗어날 수 있지만 주변 사람은 이를 알아차리지 못한다. 

가위눌림은 실제로 뇌만 깬 상태를 말한다. 가위눌림에 대응되는 의학적 용어로는  '수면마비'다. 뇌는 깼지만, 잠을 자는 동안 마비된 근육은 아직 깨어나지 못한 '렘수면' 상태일 때 수면마비가 발생한다. 즉, 정신과 몸 사이 시차가 생겨 몸은 가만히 자는데 정신만 따로 깨버리는 것이다.

 

 

렘수면 상태에서 몸이 움직이지 않는 건 당연한 일이지만, 정신이 일찍 들어버린 상태라면 이를 두고 '몸이 마비됐다'고 생각하게 된다. 수면마비는 급격히 시작돼 1~4분 정도 지속하는 게 보통이다. 대표적 증상으로는 무언가에 눌리는 것 같은 압박감, 공포와 불안, 환각, 누군가가 방 안에 있는 것 같은 인기척, 발성과 움직임 불가 등이 있다.

가위 눌린 상태에서 귀신을 보는 등 환각이 발생하는 이유는 뇌가 활성화된 렘수면 상태에선 꿈을 꿀 수 있기 때문이다. 뇌가 꿈을 꾸는 도중 의식이 든다면, 몸과 정신 간 간섭이 일어나 꿈이 의식으로 침투해 눈 앞 환각으로 펼쳐질 수 있다.

가위눌림을 해소하려면 외부에서 자극을 줘 건드리거나 이름을 불러 깨우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하지만 다른 사람이 이를 알아차리기 쉽지 않다. 스스로 가위눌림을 해소하려면 손끝이나 발끝을 움직이는 것이 방법이다. 렘수면 상태에 들어가도 상대적으로 손끝, 발끝은 덜 이완되기 때문이다.

손끝이나 발끝에 집중을 해서 움직이면 다른 감각들도 돌아오면서 점차적으로 가위에서 벗어날 수 있다. 일정하게 호흡하는 것도 좋다. 가위에 눌렸을 때 근육 중 호흡근은 마비되지 않는다. 호흡을 일정하게 내뱉고 마시는 행동을 통해 몸의 감각을 찾으려 한다면 가위에서 서서히 풀릴 수 있다. 겁먹지 않고 가위 눌렸다는 것을 인지하는 것도 중요하다. 겁을 먹으면 악몽으로 이어질 수 있고, 심화되면 가위눌림에서 벗어나기 힘들어진다.

가위눌림이 심하면, 처음부터 등을 바닥에 대고 반듯하게 눕는 자세를 피하는 것도 방법이다. 수면마비를 겪은 연구 참여자 50% 이상이 증상 발현 당시 '등을 바닥에 대고 반듯하게 누운 자세'를 취했다는 연구가 있기 때문이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