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람들 사이에서 사이코패스(psychopath)와 소시오패스(sociopath)의 차이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 두 용어는 모두 ‘반사회적 인격장애(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라는 정신과 진단명 아래에 속하지만, 여러 가지 면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입니다.

사이코패스는 일반적으로 출생 시부터 비정상적인 정서적 반응을 나타냅니다. 그들은 타인에 대한 공감 능력이 부족하고, 자신의 행동에 대해 죄책감을 느끼지 않으며, 감정 조절에 어려움을 겪습니다. 이들은 때때로 위험하고 파괴적인 행동을 서슴지 않습니다. 

반면 소시오패스는 주로 어린 시절의 트라우마나 가정폭력과 같은 환경적 요인으로 인해 사회적 생활을 시작하면서 반사회적 행동을 보입니다. 이들은 일상생활에서 상대적으로 정상적으로 보이지만, 자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타인을 조종하거나 속이는 데 거리낌이 없습니다.

사이코패스는 자신의 감정을 잘 이해하지 못하며, 타인의 감정을 조절하기 어려운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나 소시오패스는 감정을 표현하고 조절하는 능력이 더 발달해 있어, 타인을 치밀하게 조종할 수 있습니다. 이들은 양심의 가책을 느끼지 않으며, 겉보기에는 친근하고 매력적으로 보이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학교나 직장에서 따돌림을 당할 때, 그러한 상황에 전혀 개의치 않고 잘 지내는 사람이 있다면 사이코패스일 가능성이 큽니다. 반면, 따돌림을 주도하지 않으면서 교묘하게 주변을 조종하는 사람은 소시오패스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구체적인 사례로, 한국에서 유명한 연쇄 살인범 정두영은 사이코패스일 가능성이 크고, 강호순은 소시오패스에 해당할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최근 방영된 드라마 ‘백설 공주에게 죽음을-블랙 아웃’의 최후의 빌런 최나겸은 소시오패스에 가깝다고 볼 수 있습니다.

정두영은 잔혹한 살인 방법, 희생자에 대한 냉담한 태도, 범죄에 대한 쾌감 추구 등 전형적인 사이코패스의 특징을 보였습니다. 특히 맨손으로 피해자를 살해하는 등 잔혹성이 극심했으며, 범죄 후에도 별다른 후회나 죄책감을 느끼지 않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강호순은 계획적인 범죄, 거짓말과 속임수를 잘 사용하는 모습, 타인에 대한 공감 능력 부족 등 소시오패스의 특징을 보였습니다. 특히 여성들을 미끼로 유인하여 살해하는 등 교활하고 치밀한 범죄 수법을 사용했습니다.

‘백설 공주에게 죽음을-블랙 아웃’ 드라마 속 최나겸은 계획적으로 살인을 저지르고, 타인의 감정에 무관심한 모습을 보이는 등 소시오패스적인 특징을 보입니다. 특히 자신의 이익을 위해 거짓말과 속임수를 사용하고, 타인을 조종하는 모습은 전형적인 소시오패스의 특징입니다.

이 두 성격 유형의 공통점은 일반적인 사람에게서 발견되는 양심(conscience)과 도덕(moral)의 결여입니다. 프로이트의 이론을 빌리자면, 이는 초자아 결함(superego lacunae)으로 설명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인구의 4%정도가 이에 해당합니다. 

만약 주변에 반사회적 성향을 가진 사람이 있다면, 지나치게 놀라지 말고 그들의 특성을 이해하며 적절히 대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소시오패스는 반사회적 성격 장애를 의미하는 용어로, 사회를 뜻하는 소시오(socio)와 병리적 상태를 나타내는 패시(pathy)의 합성어에서 유래했습니다. 이 장애는 주로 사회 규범을 무시하고 타인에게 해를 가하는 행동 패턴으로 나타납니다. 미국정신의학회(APA)는 소시오패스를 만 18세 이상의 성인 중에서 사회적 규범을 지속적으로 위반하며, 충동적으로 타인을 공격하는 경향이 있는 사람으로 정의합니다.

전 세계적으로 인구의 약 4%가 소시오패스라는 통계도 존재합니다. 이 장애는 타고난 뇌의 문제보다는 성장 환경, 특히 어린 시절의 학대나 심리적 충격으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유년기의 부정적인 경험이 감정의 결여로 이어져, 타인의 고통에 공감하지 못하는 성향을 형성하게 되는 것입니다.

 

소시오패스의 특징

소시오패스는 범죄를 저지르고도 죄책감이나 동정심을 느끼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들은 두려움, 슬픔, 기쁨과 같은 일반적인 감정을 깊이 느끼는 능력이 부족하며, 자신의 이익을 위해 타인을 쉽게 속이거나 이용합니다. 특히 자신보다 낮은 위치에 있다고 여기는 사람들을 기만하거나 잘못을 떠넘기는 경향이 강합니다.

소시오패스는 강한 자기애를 지니고 있어 자신에 대한 연민은 크지만, 타인에 대한 공감은 결여되어 있습니다. 이로 인해 잘못된 행동을 하더라도 양심의 가책을 느끼지 않고, 자신의 행동을 정당화하거나 사회 및 타인의 탓으로 돌립니다.


소시오패스와 비슷하지만 다른 사이코패스

소시오패스와 사이코패스는 반사회적 성격 장애라는 점에서 유사하지만,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이 있습니다. 사이코패스는 충동적이고 즉흥적인 성향이 강하며 자신의 잘못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반면, 소시오패스는 계획적으로 행동하며 자신의 잘못을 인지하면서도 이를 무시하거나 정당화합니다. 이러한 차이 때문에, 사이코패스는 종종 증거를 남기는 반면 소시오패스는 증거를 남기지 않는 완전범죄를 계획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소시오패스의 행동 양상과 눈빛

소시오패스는 감정적인 결핍으로 인해 일반적인 상황에서의 반응이 다릅니다. 예를 들어, 일반인은 잘못을 저질렀을 때 눈을 깜빡이거나 피하지만, 소시오패스는 상대방을 응시하며 죄책감이 없는 태도를 보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특성은 명확하게 연구된 바가 없으며, 전문가들도 소시오패스를 외형적인 특징만으로 판별하기 어렵다고 말합니다.

캘리포니아 샌디에이고의 임상 사회 복지사 빌 에디는 소시오패스가 "잘 숨겨진 성격 장애"라고 언급하며, 이들이 사람들을 속이는 데 많은 에너지를 쏟기 때문에 구별하기 어렵다고 설명합니다. 그는 “누구나 소시오패스의 표적이 될 수 있다”고 경고하며, 이들의 행동이 얼마나 치밀하게 계획적인지를 강조했습니다.


소시오패스에 대한 개인적 고백

2024년 11월, 호주의 모델 카니카 바트라 매더슨은 자신의 틱톡 채널을 통해 “나는 소시오패스다”라는 고백과 함께 소시오패스를 구별하는 방법에 대해 영상을 공개했습니다. 그녀는 소시오패스의 눈이 "죽은 것처럼 감정이 없고 공허하다"고 설명하며, 자신의 본성을 숨기기 위해 눈을 자주 깜빡이는 훈련을 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발언은 소시오패스의 행동과 심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며, 일반 대중의 관심을 끌었습니다.


결론

소시오패스는 성장 환경과 관련된 복합적인 심리적 문제로, 타인의 감정을 공감하지 못하고 자신의 이익을 최우선시하는 특징을 보입니다. 이들은 표면적으로는 일반인처럼 보일 수 있으나, 정교한 속임수와 계획적인 행동으로 타인을 조종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소시오패스를 이해하고 대처하기 위해서는 이들의 특성과 행동 양식을 체계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