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과 중국의 침묵: 윤석열 대통령 비상계엄 사태 분석
2024년 12월 3일 밤 10시 20분경 대한민국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조치가 이루어진 가운데, 북한과 중국의 반응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과거 박근혜 대통령 탄핵 당시 북한이 선전선동을 강화했던 것과는 대조적으로, 이번에는 어떠한 반응도 보이지 않는 등 조용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침묵은 여러 가지 해석을 낳고 있습니다.
이후 김용현 당시 국방장관은 선관위에 계엄군을 투입한 이유를 "부정선거 수사 필요성" 때문이라고 언급한 바 있습니다. 이는 북한 등의 선관위 서버 해킹을 통한 선거결과 조작 가능성을 열어둔 발언이라고 해석됩니다. 이를 전제로 북한의 침묵에 대해 분석을 해보고자 합니다.
1. 북한의 침묵: 전략적 관망
북한은 과거 정치적 혼란이나 탄핵 사태에서 적극적으로 개입하며 선전 활동을 강화했습니다. 그러나 이번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조치에 대해서는 침묵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북한이 이 시점에서 말을 아끼는 이유는 자칫 발언 실수가 선거부정 의혹에 대한 근거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크게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북한은 자신들의 의도가 드러나거나, 잘못된 발언으로 인해 그들이 바라는 상황이 불리하게 전개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고 있다는 것이죠.
이러한 북한의 침묵은 전략적인 것으로 그들이 한국내 정치적 상황을 신중히 관찰하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2. 중국의 태도: 조용한 관망
중국 또한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사태에 대해 조용한 태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중국이 한국의 정치적 상황에 대해 직접적으로 개입하기보다는 상황을 지켜보는 전략을 선택했음을 나타냅니다.
특히, 이재명 대표가 과거 2022년 7월 6일, 주한 중국 대사관에서 중국 대사와 만났을 때 굴욕적인 태도를 취한 일이 언론에 보도되었습니다. 이 자리에서 이 대표는 "중국과의 관계가 중요하다"며, 중국에 대한 지나치게 의존적인 발언을 했다는 비판을 받았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중국이 이재명 대표와의 관계에서 신중한 접근을 취하게 만들었으며, 친중 세력인 이재명 대표에게 피해가 갈까봐 관망하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3. 국제 정세와 해킹 의혹
이번 계엄사태와 관련하여, 북한과 중국이 연계하여 해외 네트워킹 시스템을 통해 한국의 선관위 전산 시스템을 해킹하고 선거 결과를 조작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의혹은 국제 정세에서 북한과 중국의 협력 가능성을 시사하며, 선거 후 혼란을 틈타 이익을 도모하려는 전략으로 해석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이 사실인지 여부는 추가적인 조사와 분석이 필요하다는 점을 분명히 밝힙니다.
4. 결론
지난 12.3 비상계엄 선포 이후 8일이 지났는데도 북한이 전혀 반응을 보이고 있지 않다는 점이 이상하긴 합니다. 그러나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사태는 한국 정치의 복잡한 양상을 드러내고 있으며, 북한과 중국의 침묵은 이 상황에서 전략적 선택으로 보입니다.
앞으로의 상황 변화에 따라 북한과 중국의 태도가 어떻게 달라질지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정치적 긴장이 고조되는 가운데, 각국의 반응은 향후 한국의 정치적 방향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가 될 것입니다. 특히 미국의 반응이 어떨지 사뭇 기대됩니다.
'일상 생활에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엄사태를 계기로 되돌아 본 '큰 목소리 쏠림 현상(loud voice bias effect)'...목소리 큰 쪽이 정의? 과반수 이상 의석의 목소리가 정의? (3) | 2024.12.14 |
---|---|
홍준표 대구시장의 레밍 정치인을 출당시키자는 발언과 레밍(Lemming)의 의미는? (1) | 2024.12.12 |
윤석열 대통령의 12.3 계엄선포에 즈음한 ‘긴급 대국민 특별담화’ 내용에 대한 평가는? 선관위 부정선거 증거 찾았다고 한들~! (3) | 2024.12.11 |
비상계엄군의 선거관리위원회 진입 관련 제기된 의혹의 진원지는? (2) | 2024.12.10 |
멋진 글~!!! 청소년이 반드시 읽어야 할 글이 맞는 걸까~??? (0) | 2024.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