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가롯 유다의 집, 그 끝섬으로의 순례

만조 때는 감히 발길조차 닿을 수 없는 곳, 물이 차오르면 섬은 고립되어 버린다. 그러나 물이 빠진 해변을 따라 걷다 보면, 끝섬에 다다를 수 있다. 가롯 유다의 이름을 딴 이 작은 섬은, 그의 비극적이고도 어두운 이야기를 가슴에 품고 순례자들을 맞이한다.

끝섬에 발을 들이면, 붉은 벽돌로 쌓아 올린 고딕 양식의 아담한 집이 눈앞에 펼쳐진다. 첨탑과 기와가 어우러진 지붕은 마치 묵직한 침묵 속에서 속죄와 반성을 속삭이는 듯하다.

그 앞에는 나선형으로 꼬아 올린 벽돌 종루가 서 있다. 이 종루는 단순한 건축물이 아니다. 그것은 이곳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여정을 기념하며, 또한 순례자들의 마음을 울리는 소리로 삶을 돌아보게 한다.

H.J Mun님이 순례가 끝났음을 알리는 종을 12번 친다.

열두 번의 종소리를 울릴 때마다, 순례의 발걸음이 12km의 길을 걸어온 여정을 마무리했음을 깨닫는다. 종소리는 순례의 끝을 알리지만, 동시에 새로운 시작을 암시한다. 고요한 섬에서 울려 퍼지는 소리는 가롯 유다의 비극적인 선택과, 그 속에서 우리 자신의 뒤틀리고 꼬인 삶을 마주보게 한다.

‘가롯 유다의 집’은 단순히 아름다운 풍경으로 기억되지 않는다. 그것은 우리 각자 마음 속 깊이 자리 잡은 후회와 속죄를 떠올리게 하며, 돌아가야 할 삶의 자리로 순례자를 이끈다.

H.J MUN 님이 성당안에서 마지막 기념의 말을 적고 있다.

그곳에서 나는 예수께 입맞춤하던 유다의 마지막 순간을 떠올렸다. 돈주머니를 쥔 그의 손, 그리고 스승을 배신했던 그 찰나의 선택. 그는 비록 어둠 속으로 사라졌으나, 그가 남긴 이야기는 오늘도 끝섬에서 새겨지고 있었다.

11번째 순례지와 12번째 순례지의 중간 바다에 서서

붉은 종루 아래에서 마지막 종을 치며, 나는 그곳에 온전히 서 있었다. 가롯 유다의 고독이 깃든 곳에서, 내게도 깊은 고독과 회복의 기회가 주어졌음을 느꼈다. 그리고 속으로 다짐했다. 다시 일상으로 돌아가, 순례길에서 배운 성찰과 회복의 의미를 품고 살리라고.

가롯 유다의 집은 끝섬에 있지만, 어쩌면 우리의 마음 한구석 끝자락에도 자리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