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섬티아고 8번째 코스인 기쁨의 집, 마태오의 집에서의 성찰

섬티아고 순례길을 걸으며 만난 8번째 순례지, 소기점도에서 소악도로 이어지는 노둣길의 갯벌에 위치한 마태오의 집. 이곳에 발을 들여놓는 순간, 입구에서부터 황금빛 양탄자로 계단을 수놓은 듯 마치 황금 궁전에 들어서는 경이로움을 느낀다. 그 황금빛은 과연 마태오의 집 애칭인 기쁨을 상징하는 것일까?


그러나 기쁨의 집 안으로 들어가 사방의 창문을 활짝 열었을 때, 그곳에서 펼쳐진 풍경은 그 질문에 대한 답을 살며시 던져 주었다. 만조 때 바다의 물결이 살랑거리고, 바람이 속삭이는 소리가 귓전에 스치면 '기쁨의 의미가 바로 이곳에 있구나'라는 깨달음이 가슴에 가득 찬다.

작은 성당에 들어서 밀물에 고립되고, 썰물에 다시 길을 걸어가는 반복의 일상. 이 과정에서 우리는 기쁨과 슬픔, 노여움와 즐거움을 경험하게 되리라. 어쩌면 인생이란 이 모든 감정을 겪으며 진정한 기쁨을 찾아가는 여정이 아닐까?


기쁨의 집에서의 순간들은 그 자체로 특별하다. 노둣길 옆으로 찰랑찰랑 차오르는 바다의 향기, 바람의 속삭임, 그리고 어서 벗어나야겠다는 다양한 감정들이 어우러져 진정한 기쁨을 느끼게 해주었기 때문에. 또한 완전 밀물이 될 때 마태오의 집에서 고립된 채 명상과 묵상을 하는 우리들은 천국의 기쁨을 느끼리라.

https://www.youtube.com/watch?v=L0hW7We3Y3k

우리 일행은 어느 어부의 배를  타고 만조 때에 마태오의 집에 다가갔다. 보트의 스피드, 물결의 갈라짐, 귓전을 스치는 바람소리 그리고 찰랑거리는 물결이 마태오의 집 곁을 때릴 때 완전히 환희에 젖어 소리를 질러댄다. 


순례길을 걸으며 우리는 다양한 감정을 만나고, 그 속에서 삶의 진정한 기쁨을 찾아간다. 기쁨의 집, 마태오의 집에서의 경험은 그 여정에서 잊지 못할 순간으로 남을 것이다. 기쁨이란 결국, 우리가 겪는 모든 순간 속에 존재하는 것이니까.

반응형
반응형

섬 내부의 호수에 둥둥 떠 있는 유리성(城). 그곳이 바로 바르톨로메오의 집입니다. 예수님처럼 갈릴리 호수를 걸어갈 수 없기에 예수님의 기적을 묵상하면서 호숫가에서 나의 모습을 담아 기념촬영하는 것으로 대신합니다. 

나의 옆 뒤쪽의 유리성이 바르톨로메오의 집

바르톨로메오(Bartholomew)는 예수님의 12제자 중 한 명으로, 요한복음에서는 나다나엘(Nathanael)로 불립니다. 성경에서는 그에 대한 언급이 적지만, 요한복음 1장 45-51절에서 빌립이 나다나엘을 예수님께 데려오며 그의 존재가 처음 등장합니다. 예수님께서는 나다나엘을 "참으로 이스라엘 사람"이라며 칭찬하셨고, 이 만남에서 나다나엘은 예수님을 "하나님의 아들이자 이스라엘의 왕"으로 고백하게 됩니다.

전승에 따르면, 바르톨로메오는 예수님의 부활 이후 아르메니아에서 선교한 것으로 전해지며, 순교할 때 피부가 벗겨지고 십자가에 거꾸로 매달려 죽었다는 기록도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그의 선교 덕분인지 아르메니아는 서기 301년 세계 최초로 기독교를 국교화 합니다. 

로마가 서기 313년 콘스탄티누스 대제의 밀라노 칙령에 의해 기독교를 공인한 이래,  서기 380년에 이르러서야 테오도시우스 황제가 국교로 선포하게 되면서 유럽 전역에 기독교가 확산되기 시작했습니다. 로마에 비해 79년이나 앞서 아르메니아가 기독교를 국교로 받아들인 것입니다. 이러한 공이 바르톨로메오, 즉 나다나엘의 선교 때문이 아닐까요?

반응형

+ Recent posts